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발해의 빛나는 역사와 그 왕조의 발전: 고구려 계승 의식부터 멸망 후의 저항까지

by 유나이티드준 2023. 11. 13.
반응형

발해의 빛나는 역사와 그 왕조의 발전: 고구려 계승 의식부터 멸망 후의 저항까지
출처 : 구글 이미지

발해의 빛나는 역사와 그 왕조의 발전: 고구려 계승 의식부터 멸망 후의 저항까지

발해의 역사는 그저 잊혀진 과거가 아닙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발해의 건국부터 고구려 계승 의식, 왕조의 업적, 국제적 지위 확립까지 발해의 역사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발해의 멸망과 그 이후의 흐름까지 살펴보면서, 우리의 고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함께 발해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그 속에서 우리 역사의 뿌리를 찾아보겠습니다.

- 목 차 -
1. 발해의 건국과 고구려 계승 의식
2. 발해의 발전과 왕조의 업적
3. 발해와 다른 국가들의 외교 관계
4. 발해의 멸망과 그 이후
5. 발해의 왕조와 그들의 업적
    1) 대조영의 통치기
    2) 대무예의 통치기
    3) 대흠무의 통치기
6. 발해와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
7. 발해의 멸망
8. 발해 멸망 후의 흐름

1. 발해의 건국과 고구려 계승 의식

고대의 한반도,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이 중심이 되어 만주 동부 지역에 진국을 세웠습니다. 이것이 바로 발해의 건국입니다. 발해는 남쪽의 신라와 북쪽의 발해가 공존하는 남북국의 형세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발해는 이후 영토를 확대하여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습니다.

발해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서의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증거로 발해는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구려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이 있습니다. 또한 발해의 지배층은 고구려 출신이 대부분이었습니다.

2. 발해의 발전과 왕조의 업적

발해의 발전은 각 왕조의 업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대조영은 건국 직후 신라와 외교 관계를 맺음으로써 당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려 했습니다. 그러나 당과 돌궐이 화친 관계로 돌아서자 발해도 당과 외교 관계를 맺게 되었습니다.

대무예는 시호가 무왕이며,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습니다.

대흠무는 시호가 문왕이며, 문물제도의 정비와 함께 수도를 새롭게 조영하였습니다. 문왕은 당과 친선 관계를 맺으면서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체제를 정비하였습니다.

3. 발해와 다른 국가들의 외교 관계

발해는 당과 신라 등 다른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국제적 지위를 격상시켰습니다. 발해는 일본에게 천손임을 자랑하고, 황상이라는 칭호를 쓰면서 황제 국가의 면모를 과시했습니다.

4. 발해의 멸망과 그 이후

10세기 초에 이르러 부족을 통일한 거란이 동쪽으로 세력을 확대해 오고, 발해 내부에서도 귀족들의 권력 투쟁이 격화되어 발해의 국력이 크게 쇠퇴하였습니다. 결국 거란의 침략을 받아 발해는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발해가 멸망한 뒤 그 유민들은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 상경 용천부 지역의 후발해국, 오사국, 흥요국 등을 건립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해 유민의 저항은 멸망 후 200여 년이 지난 뒤에까지 계속되었습니다.

반응형

5. 발해의 왕조와 그들의 업적

발해의 왕조들은 각각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왕들의 업적을 살펴보겠습니다.

1) 대조영의 통치기

대조영발해의 건국자로서, 그의 통치기에는 발해가 남북국 시대를 이루며 영토를 확장하였습니다. 그는 당과 돌궐을 통해 외교적 안정을 추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발해는 당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2) 대무예의 통치기

대무예발해의 두 번째 왕으로, 그의 통치기에는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였습니다.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발해의 세력이 확대되었습니다.

3) 대흠무의 통치기

대흠무발해의 세 번째 왕으로, 그의 통치기에는 문물제도의 정비와 수도 이전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당과 친선 관계를 맺으면서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체제를 정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발해는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6. 발해와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

발해는 다른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국제적 지위를 격상시켰습니다. 신라와는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 관계를 해소하려 하였고, 당과는 친선 관계를 맺었습니다. 또한, 발해는 일본에게 천손임을 자랑하고, 황상이라는 칭호를 쓰면서 황제 국가의 면모를 과시하였습니다.

7. 발해의 멸망

10세기 초에 이르러 부족을 통일한 거란이 동쪽으로 세력을 확대하자, 발해 내부에서도 귀족들의 권력 투쟁이 격화되어 발해의 국력이 크게 쇠퇴하였습니다. 결국 거란의 침략을 받아 발해는 멸망하였습니다.

8. 발해 멸망 후의 흐름

발해가 멸망한 뒤 그 유민들은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 상경 용천부 지역의 후발해국, 오사국, 흥요국 등을 건립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해 유민의 저항은 멸망 후 200여 년이 지난 뒤에까지 계속되었습니다.

 

통일신라의 역사적 변화: 1. 골품제도의 형성과 중위제

통일신라의 역사적 변화: 2. 왕권 전제화부터 유교 정치 이념의 확산

통일신라의 역사적 변화: 3. 왕권의 약화부터 호족의 대두까지

고대 한반도의 역사적 전환점: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와 후삼국의 성립

후삼국 성립의 비밀: 견훤, 궁예, 왕건의 전략과 그 영향

반응형
>